본문 바로가기

Android

(4)
[안드로이드] Youtube Data 사용하기 1. Google Cloud Platform에서 API 사용 설정하기 앱에 내가 원하는 채널이 있다면, 해당 채널에 대한 Data가 당연히 필요하다. 그리고 이 Data를 받아오기 위해서는 Google API에서 제공하는 Youtube Data API v3를 사용해야 한다. 그럼 먼저 Google API에 들어가보자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바로가기 Google Cloud Platform 하나의 계정으로 모든 Google 서비스를 Google Cloud Platform을 사용하려면 로그인하세요. accounts.google.com 위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된다. 아래 화면에서 우리가 들어가야할 곳은 왼쪽 메뉴바에 있는 '라이브러리' 섹션이다. 해당 섹션에 들어가면 무수히 많은 AP..
[안드로이드] Glide 사용하기 (Java) Glide Example 1. dependencies 추가하기 (앱 수준) * implementation 'com.github.bumptech.glide:glide:4.9.0' * annotationProcessor 'com.github.bumptech.glide:compiler:4.9.0' 두 문장을 build.gradle (Module:app)의 dependencies에 추가한다! 2. AndroidManifest.xml에 INTERNET 사용권한 추가하기 Glide를 사용할 때 기기 내부의 리소스를 불러오는 경우도 있지만 이미지 URL을 로드해서 보여주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URL 로드해서 이미지를 보여주는 경우를 위해 앱에 인터넷 사용 권한을 추가해준다. 아래 문장을 manifests->Andr..
[안드로이드] LiveData에 대해 알아보자 Intro 오늘은 LiveData에 대해서 알아볼거다. 여러 블로그에서 나온것과 같이 dataBinding에 대해서 미리 알아두면 좋지만, LiveData를 알고 dataBinding을 들어가면 더 순조로울 것 같아서 나는 그냥 LiveData에 대해서 먼저 알아볼 것이다. Basis 안드로이드 개발자 문서에서 LiveData에 대하여 찾아보면 눈에 띄는 2가지 특징이 보인다. LiveData는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변경되는걸 observable할 수 있는 데이터 holder class다. 쉽게 말하면 데이터가 바뀌면 데이터 바뀌는걸 알아차릴 수 있다는 소리다. LiveData는 생명주기를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내가 실행중인 activity나 fragment의 데이터가 변경되면 실시간으로 이를 감지..
[안드로이드] Okhttp3 사용 기본예제 (kotlin) Java에서 kotlin으로 넘어가고 있다. http connection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것 중 하나인 okhttp3 사용예제를 만들어보자. okhttp3가 어떤 라이브러리인지 궁금하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자 okhttp3 깃허브 링크 1. 라이브러리 추가 app수준의 Gradle에 들어가서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준다. implementation 'com.squareup.okhttp3:okhttp:4.9.0' //포스팅 당시 4.9.0 버전 기준 2. permission 추가 Manifest에 들어가서 INTERNET사용을 위한 permission을 application 태그 밖에 작성해준다. 3. okhttp 선언 후 정보 불러오기 okhttp3를 사용한다면 android일 것이고 디자인 패턴에 따라서..